[나는 어린이집 교사입니다] 3. 아동학대, 진짜 범인은 국가다




두 차례의 기사가 나간 이후, 여러 통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학부모, 교사, 원장님 등등 각계의 의견을 많이 들었습니다. 응원의 의견보다는, 비판의 글이 더 많았습니다. 어린이집 문제가 여러 관계가 중첩되고 여러 문제가 복합된 실타래 같구나,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그 가운데 한 통의 메일은 두 번째 기사가 나간 날 자정 가까운 시간에 왔습니다. 보육노조의 비리고발고충상담센터장인 김호연(41) 선생님이었습니다.  

두 아이의 엄마로 20년 째 보육 현장을 지키고 있는 김호연 선생님은 "오늘 기사까지 쏟아지는 비난을 보고 있자니 억장이 무너진다"고 했습니다. 다음날 2시간이 넘도록 이어진 통화에서도 김호연 선생님은 "요즘 잠이 안 온다"며 울먹였습니다. 

세 번째 이야기는 계획했던 이야기를 잠시 미뤄두고, 김호연 선생님의 목소리를 전해볼까 합니다.  

"꽃 같은 분들이 지금 다 어린이집을 떠나고 있어요" 

▲김호연 보육노조 비리고발고충상담센터장.ⓒ프레시안(최형락)

"우리 교사들이 사고만 생기면, 한꺼번에 따가운 시선을 받고 했지만, 그래도 경력 교사들은 움직이지 않았거든요. 8년 차 이상 되는 교사들은 아무것도 보지 않고 애들만 보고 있던 사람들이에요. 그들이 어려운 보육 현장을 지키고 있었던 것이거든요. 그런데 그분들이 지금 다 현장을 떠나고 있어요." 

김호연 선생님은 "경력 교사들 가운데 자기 원(어린이집)을 차리지 않은 교사들은 정말 꽃 중에 꽃인 사람들"이라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어린이집 개원의 유혹 물리치고 현장에 있는 거예요. 월급 150만~200만 원 받으면서. 자기 자식은 제대로 보육도 못 하고, 자기 아이 입학식·졸업식은 가보지도 못하는 엄마가 그보다 어린아이들과 있는 것이 행복하다고 살고 있는 거죠. 그럼 너희들 잘한다, 잘한다는 못 해줘도 그 사람들이 현장에 있게 만이라도 해줬으면 좋겠다는 건데…." 

김호연 선생님은 말을 채 잊지 못했습니다. 전화기 선을 타고 꽤 긴 침묵과 목멤이 전해져 왔습니다.  

인천 어린이집 학대 사건 이후 쏟아지는 세상의 비난, 자신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시선들 속에서 어린이집 교사들이 많이들 그만둔다는 얘기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뉴스'입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 순간에도 어느 선생님은 우리 아이를 돌보고 있고, 우리 아이의 눈물을 닦아주고 있으며, 우리 아이를 웃게 하고 있을 것입니다. 김호연 선생님은 그들을 보아달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잠시 호흡을 고르던 김호연 선생님은 "묵묵히 아이들을 지켜 온 선생님들에게 제발 떠나지 말라고, 같이 보육현장을 지키자고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아이들의 삶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교사가 불행하다면…"

"나는 보육교사가 세상의 중심이라고 생각해요. 누군가의 삶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직업이 보육교사 말고 또 어디 있어요." 

세상에 태어난 아이들이, 엄마 아빠 외에 처음 만나는 '선생님.' 어린이집 선생님은 그런 존재입니다. 김호연 선생님의 말대로 아이들은 "그 선생님을 통해 세상을 봅니다." 엄마와 아빠도 아이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지만, 맞벌이 부모 밑에서 자라는 아이는 깨어 있는 시간 대부분을 어린이집에서 보냅니다.  

"그 교사가 사는 모습으로 아이들이 크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들이 행복하지 않으면, 이 사회가 정말 제대로 된 것일까요?" 

행복하지 않은 선생님들을 통해 아이들은 어떤 세상을 만날까요? 

선생님들을 힘겹게 하는 요인은 많습니다. 김호연 선생님과 이야기를 하기 전에 3회에서 하려던 이야기도 그것이었습니다.  

10년째 변하지 않는 교사 대 아동 비율, 휴식시간은커녕 마음 편히 화장실 가기도, 점심을 먹기도 힘든 어린이집 교사의 노동 현실, 유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하는 시간과 강도에 비해 턱없이 낮은 임금, 서류 더미와 화장실 청소, 설거지 등 아이들을 돌보는 것 외에도 ‘넘쳐나는’ 할 일. 평가인증이라도 준비해야 하는 해가 되면 교사들을 매일 밤을 새우다시피 한다고 합니다. 전날 새벽까지 야근한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한없이 여유로울 수 있을까요? 

내 몸이 아프면 내 아이 하나 돌보는 것도 벅찬 것은 아이 가진 부모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마음일 것입니다. 그런데 교사들은 아파도 휴가를 낼 수도 없습니다. 그런 교사들에게 오직 '천사 같은 마음'으로 아이를 돌봐 달라 부탁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 요구일까요?

더욱이 이런 현실을 만들어 놓은 것은 정부입니다. 국공립 어린이집을 사실상 거의 전부 민간에 위탁한 것도, 민간 어린이집을 대폭 늘려 '원아 유치 경쟁'을 하게 만든 것도, 1년 동안 인터넷으로 강의를 들었다는 것만 확인되면 교사 자격증을 딸 수 있는 자격을 준 것도 모두 정부입니다.  

그런데 인천 어린이집 학대 사건 이후 쏟아지는 각종 이야기 속 어디에도, 정부가 자신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은 없습니다. 오직, 감시와 처벌을 위한 CCTV 설치뿐입니다. 정치권도 마찬가지입니다. 교사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현실을 개선하겠다는 이야기는 어느새 수면 아래로 들어가고, 2월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도 CCTV 설치 의무화뿐입니다. 

김호연 선생님이 지난 23일 보육 관련 여러 단체와 함께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에 나선 이유입니다. 김호연 선생님은 보육의 질은 보육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보육의 질을, 보육교사의 질을 떨어뜨린 장본인은 정부라고 힘주어 말합니다. 

김호연 선생님이 세상에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글로 정리해 보내 왔습니다. 이 편지글의 일부는 지난 23일 기자회견에서도 김호연 선생님이 낭독했습니다. 글 전문을 소개합니다.

<출처: 나는 어린이집 교사입니다/여정민 기자,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4172>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